스웨덴의 라곰(Lagom)이란?
라곰(Lagom)은 스웨덴어로 "딱 적당한" 또는 "충분한 만큼"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균형과 절제를 중시하는 스웨덴 문화를 상징합니다. 이는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를 지향하며, 개인의 삶과 사회의 조화를 이루는 데 중점을 둡니다.
<라곰의 기원>
어원: 라곰은 "팀을 위한"이라는 뜻을 가진 고대 스칸디나비아어 "laget om"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는 바이킹 시대에 음식을 공동체 내에서 공평하게 나누는 전통과 관련이 있습니다.
스웨덴의 전통과 자연 중심 생활 방식이 라곰 정신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라곰의 원칙>
1. 균형
삶의 모든 영역에서 과유불급을 피하고, 적당한 선에서 만족을 찾는 것.
예: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음식 섭취량 조절 등.
2. 절제와 자제
자신의 욕심을 억제하고, 필요 이상으로 가지거나 소비하지 않는 태도.
예: 환경을 생각한 소비 습관, 적당한 소유.
3. 조화
개인과 사회,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삶을 지향.
예: 공동체 의식,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문화.
<라곰이 반영된 스웨덴의 문화>
1. 환경과 지속 가능성
스웨덴은 세계적으로 친환경 정책을 적극 추진하는 국가로, 라곰 정신이 이러한 정책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습니다.
예: 재활용 문화, 에너지 절약, 지속 가능한 도시 설계.
2. 일과 삶의 균형 (Work-Life Balance)
스웨덴의 직장 문화는 직원의 삶의 질을 중시하며, 정시 퇴근과 휴가 사용이 일반적입니다.
3. 단순한 생활
불필요한 소유를 피하고, 단순한 생활을 추구합니다. 이는 미니멀리즘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4. Fika 문화
스웨덴의 독특한 커피 브레이크 문화인 Fika(피카)도 라곰의 일환으로, 짧은 휴식과 교류를 통해 삶의 균형을 맞춥니다.
5. 건축 및 디자인
스웨덴의 건축과 디자인은 단순하고 실용적이며, 자연과의 조화를 고려합니다.
대표적 예: 이케아(IKEA)의 제품 디자인.
<라곰과 한국 사회의 시사점>
1. 소비 습관 개선
과도한 소비에서 벗어나 환경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소비를 장려.
2. 일과 삶의 균형
직장인들이 스트레스와 과로에서 벗어나 개인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정책 필요.
3. 공동체 의식
개인주의와 공동체의 균형을 찾아, 서로를 배려하는 사회 분위기 형성.
라곰은 단순히 스웨덴 문화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균형 있는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철학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잡다한 지식들 > 다문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민자 통합정책지수(MIPEX): 국가별 비교와 한국의 현황 (0) | 2025.03.10 |
---|---|
페라나칸 문화: 동남아시아의 다채로운 혼합 전통 (4) | 2025.03.09 |
G20: 글로벌 경제와 지속 가능성을 논의하는 주요 국제 기구 (0) | 2025.01.17 |
라틴 아메리카에서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나라: 브라질 (6) | 2025.01.16 |
문화이식의 정의와 예 (6)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