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 탐험/몽골

몽골의 언어, 특징, 방언, 소수민족의 언어 등

by 1004goa 2024. 11. 18.
반응형

 

몽골의 언어는 몽골의 역사와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방언과 언어 계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몽골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는 몽골어다. 몽골어는 주로 알타이 어족에 속하며, 몽골 내 다양한 민족 집단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몽골어 (Монгол хэл)

- 사용 지역: 몽골어는 몽골의 공식 언어이며, 몽골 인구의 95%가 모국어로 사용한다. 몽골어는 또한 중국 내 몽골족 자치구와 러시아의 일부 몽골계 민족들에 의해 사용된다.

- 언어 계통: 몽골어는 알타이 어족의 몽골어파에 속하며, 이 언어 계통에는 부리야트어, 오이라트어, 칼미크어 등이 포함된다.

- 문자: 몽골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몽골은 1941년에 소련의 영향으로 기존의 전통 몽골 문자를 버리고 키릴 문자를 채택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몽골 전통 문자 사용이 부활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특히 학교에서 전통 문자를 가르치기 시작하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전통 문자를 배울 수 있게 되었다.

- 전통 몽골 문자: 위아래로 세로로 쓰는 독특한 문자, 몽골 초기에 만들어졌으며, 주로 불교 경전이나 역사적인 문서에서 사용되었다.

- 키릴 문자: 몽골에서는 현재 키릴 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몽골어 표기에 맞게 몇 가지 문자가 추가된 키릴 알파벳이 사용된다.

방언

- 할하 방언 (Khalkha dialect): 몽골 인구의 대부분이 사용하는 방언으로, 몽골에서 표준어로 간주된다.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와 주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차하르 방언 (Chahar dialect): 몽골 남부와 중국 내몽골 자치구 일부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할하 방언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음운적 차이가 있다.

- 오이라트 방언 (Oirat dialect): 몽골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특히 서몽골에 거주하는 오이라트족에 의해 사용된다. 오이라트어는 독립된 언어로도 간주되며, 자체적인 문어체를 가지고 있다.

- 부리야트 방언 (Buryat dialect): 주로 러시아 부리야트 공화국에 사는 부리야트족에 의해 사용되는 방언이다. 몽골어의 또 다른 방언으로 간주되지만, 부리야트어는 독립된 언어로도 간주된다.

소수민족 언어

- 카자흐어 (Kazakh): 몽골 서부에 거주하는 카자흐족은 카자흐어를 사용한다. 카자흐어는 투르크어족에 속하며, 몽골어와는 전혀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다. 카자흐족은 몽골 내 소수민족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며, 주로 몽골의 바양-울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 투바어 (Tuvan): 몽골 북서부에 거주하는 투바족은 투바어를 사용한다. 투바어 역시 투르크어족에 속하며, 몽골어와는 언어학적으로 차이가 크다.

- 중국어, 러시아어: 소수이지만, 일부 몽골인들은 중국어와 러시아어를 배운다. 몽골은 한때 소련의 영향을 받았고, 오늘날에도 일부 교육과 외교 분야에서 러시아어가 사용된다. 중국어는 중국과의 교역 및 정치적 관계 때문에 학습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몽골어의 특징

- 모음조화: 몽골어는 모음조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어 안의 모음들이 서로 영향을 주어 단어가 발음될 때 모음의 종류가 일관성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 교착어: 몽골어는 교착어로, 접미사나 접두사를 통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 단어의 기본 형태에 다양한 접사를 붙여 시제, , 존대 등의 의미를 표현한다.

- 격변화: 몽골어는 격변화가 중요한 언어다. 주어, 목적어, 보어 등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단어의 형태가 변화한다. 이러한 격변화는 문장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현대 몽골어의 변화

- 몽골은 1990년대 민주화 이후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겪으면서, 언어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젊은 세대들은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등 외국어를 배우며 국제적인 환경에서 더 큰 경쟁력을 갖추고자 한다. 이에 따라 현대 몽골어에도 많은 외래어가 유입되고 있으며, 정보 기술과 관련된 신조어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141007

 

[우리문화신문] 몽골의 문자 변화와 ‘한글20’의 가능성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몽골은 우리에게 매우 특별한 나라입니다. 길거리에서 몽골인을 만나면 마치 고향 사람이라도 만나는 것 같은 느낌이 들게 됩니다. 우리를 정복했던 역사가

www.koya-cultur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