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63

장윤원: 인도네시아에 뿌리 내린 독립운동가 장윤원(張潤遠, 1883∼1947) 선생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서, 인도네시아에 정착한 최초의 한국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생애 및 독립운동 활동:출생 및 교육: 장윤원 선생은 중추원 의관을 지낸 장석찬의 외아들로 태어나, 일본 동경제국대학 상과를 졸업한 후 귀국하여 은행에서 근무하였습니다. 독립운동 자금 지원: 1919년 3·1운동 당시, 근무하던 은행의 자금을 독립운동에 지원하였으며, 이로 인해 일본 경찰의 체포령이 내려졌습니다. 망명과 인도네시아 정착: 체포를 피해 만주와 베이징을 거쳐, 1920년 9월 20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당시 바타비아)에 도착하여 망명 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현지 활동: 자카르타에서 중국계 여성과 결혼하여 2남 3녀를 두었으며,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부의 일본어 담당 수석.. 2025. 4. 18.
재일한인의 경제적 현실: 영세업과 저임금 노동의 역사적 배경과 구조적 차별 재일한인(재일동포)들이 주로 영세업에 종사하거나, 실업률이 높고, 저임금 노동을 하는 이유는 역사적·사회적·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1. 역사적 배경: 강제징용과 차별적 출발점일제강점기(1910~1945년) 강제징용으로 일본에 온 조선인들이 대부분 가난한 노동자로 시작했습니다. 조선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인들은 대부분 탄광, 건설, 공장 노동자로 착취당했습니다. 패전 후(1945년) 일본이 식민 지배를 끝내면서, 조선인들은 일본 국적을 상실하고 법적·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재일한인들은 일본에서 사회적·경제적 약자로 출발했고, 기득권이 없었음.2. 국적 차별과 법적 제약국적 문제: 1945년 이후 재일한인들은 일본 국적을 상실했지만, 한국이나 북한으로 돌아가.. 2025. 4. 17.
베트남 전쟁이 한국 경제 성장에 미친 영향 베트남 전쟁(1964~1973년)동안 한국은 미국의 요청으로 군을 파병했으며, 이 과정에서 경제적 이익을 크게 얻어 산업화와 경제성장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한국 경제 성장에 기여했습니다.1. 미군 군수 지원으로 인한 경제적 혜택미국은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에 대한 대가로 경제 지원과 군사 원조를 제공했습니다.(1) 군사 원조 및 외화 수입 증가한국 정부는 파병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약 10억 달러(현재 가치 약 100억 달러 이상) 규모의 경제 지원을 받음. 미국이 베트남 전쟁 수행을 위해 한국 기업과 계약하여 군수 물자를 발주하고, 한국 근로자와 기업들이 베트남에서 일하며 달러를 벌어들임. 외화 수입이 늘어나면서 한국 경제 발전의 핵심 요소였던 경공업, 중화학 산업의.. 2025. 4. 16.
플랜트와 공장의 차이: 같은 듯 다른 개념 플랜트(Plant)와 공장(Factory)의 차이점✔ 공장(Factory):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장소.주로 자동차, 전자제품, 식품 등 완제품을 생산하는 시설.예: 현대자동차 공장, 삼성전자 스마트폰 공장.✔ 플랜트(Plant):특정 산업에 필요한 설비와 시스템을 갖춘 대형 시설.공장도 플랜트의 일부가 될 수 있음.주로 에너지, 화학, 정유, 발전, 철강, 반도체 등 대규모 산업 시설을 의미.예: 석유화학 플랜트, LNG 플랜트, 발전 플랜트.▶ 결론:공장은 완제품을 생산하는 시설이고, 플랜트는 원자재를 가공하여 특정 산업에서 필요한 제품이나 에너지를 생산하는 거대한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즉, 공장은 플랜트의 한 종류일 수도 있지만, 플랜트가 반드시 공장은 아닙니다. 2025. 4. 15.
히로시마 원자폭탄 당시 한국인 피해자 수와 남겨진 고통 히로시마 원자폭탄 당시 한국인 피해자 수에 대한 정확한 집계는 어렵지만, 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1. 한국인 피해자 규모총 피해자 수: 약 7만~10만 명으로 추정사망자 수: 약 2만~3만 명 (전체 희생자의 약 10~20%)부상자 및 후유증 피해자: 약 5만~7만 명➡ 나가사키 원폭까지 포함하면, 총 10만 명 이상의 한국인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고.2. 왜 한국인이 그렇게 많았을까?1) 강제징용으로 일본에 끌려간 조선인1945년 당시, 일본은 조선인을 강제징용하여 군수공장과 건설현장에서 일하도록 했고 히로시마에는 미쓰비시 조선소, 군수 공장 등에서 일하는 조선인 노동자가 많았습니다. 특히 히로시마 우지나(宇品) 항구, 군수 공장, 나가사키 미쓰비시 조선소 등에서 많은 조선인이 일했습니다. 2.. 2025. 4. 14.
박종석의 히타치 취업 차별 사건(1970년) 박종석의 히타치 취업 차별 사건(1970년)은 재일한국인이 일본에서 겪은 대표적인 차별 사건 중 하나야.이 사건은 재일한국인의 고용 차별 문제를 일본 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어.1. 사건 개요박종석(朴鐘碩, Pak Chong-Sok): 당시 일본에 거주하던 재일한국인 2세.1970년 4월: 일본의 대기업 히타치(日立製作所)에서 신입사원 모집을 진행했고 박종석은 필기시험과 면접에서 높은 성적을 받아 합격했지만, 국적이 '한국'이라는 이유로 취업이 취소되었습니다.➡ 즉, 일본 국적이 아니라 한국 국적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받은 사건입니다.2. 일본 사회의 반응박종석은 일본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는 재일한국인 차별 문제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일본 내에서도 논란이 되었습니다. 당시 일본 사회에서는 .. 2025.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