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국어 존칭1 태국어의 특징 총정리 태국어는 우리나라 한글과 같이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졌습니다.44개의 자음과 32개의 모음을 조합해서 글자를 만듭니다. 또 5가지의 성조가 있어 글자마다 높낮이가 다릅니다. 1283년 쑤코타이 왕조의 람캄행왕이 크메르와 몬족 글자를 개량해서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남자와 여자가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 다른 것도 태국어의 큰 특징입니다.여자는 ‘~카(~ค่ะ )’, 남자는 ‘~크랍(~ครับ)’ 를 붙여 말합니다.‘싸왓디’는 안녕이고 이것을 여자가 말할 때는 ‘싸왓디카’(안녕하세요) 남자가 말할 때는 ‘싸왓디크랍’(안녕하세요)이라고 합니다.태국어는 태국의 공식 언어로, 약 7천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독특한 음운 체계와 문법, 문자 체계로 인해 배우는 데 도전이 되기도 하지만, 이를 이해하면 .. 2025. 1.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