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 탐험/태국

태국어의 특징 총정리

by 1004goa 2025. 1. 26.
반응형

 

<태국어의 특징>

 

태국어는 우리나라 한글과 같이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졌습니다.

44개의 자음과 32개의 모음을 조합해서 글자를 만듭니다. 또 5가지의 성조가 있어 글자마다 높낮이가 다릅니다. 1283년 쑤코타이 왕조의 람캄행왕이 크메르와 몬족 글자를 개량해서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남자와 여자가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 다른 것도 태국어의 큰 특징입니다.
여자는 ‘~카(~ค่ะ )’, 남자는 ‘~크랍(~ครับ)’ 를 붙여 말합니다.
‘싸왓디’는 안녕이고 이것을 여자가 말할 때는 ‘싸왓디카’(안녕하세요) 남자가 말할 때는 ‘싸왓디크랍’(안녕하세요)이라고 합니다.


태국어는 태국의 공식 언어로, 약 7천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독특한 음운 체계와 문법, 문자 체계로 인해 배우는 데 도전이 되기도 하지만, 이를 이해하면 태국 문화를 깊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음조 언어
태국어는 음조 언어로, 단어의 의미가 음의 높낮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음조는 총 5가지가 있습니다:

높은 톤
낮은 톤
중간 톤
올라가는 톤
내려가는 톤

예를 들어, "마(má)"라는 단어는 톤에 따라 ‘말(马)’, ‘오다(มา)’, ‘매운(เผ็ด)’처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발음이 매우 중요합니다.

2. 간단한 문법 구조

태국어는 문법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성별과 수에 따른 변화 없음

예를 들어, 동사는 주어의 성별, 단수/복수에 따라 변화하지 않습니다.
"저는 간다" = "ผมไป" (pom pai) (남성)
"저는 간다" = "ฉันไป" (chan pai) (여성)

동사의 시제 변화 없음

과거, 현재, 미래는 단어 순서나 시간 부사를 통해 표현합니다.
"저는 먹었다" = "ผมกินแล้ว" (pom kin laew) (먹다 + 이미)
"저는 먹을 것이다" = "ผมจะกิน" (pom ja kin) (먹다 + 할 것이다)

3. 독특한 문자 체계

태국어는 고유의 태국 문자(타이 문자)를 사용합니다.
총 44개의 자음과 32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문장은 띄어쓰기가 없고, 단어와 단어가 연속적으로 이어집니다.
예: สวัสดีครับ (sawatdee krap) = 안녕하세요.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하나의 소리를 형성하며, 발음이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4. 존댓말과 경어

태국어는 사회적 계층과 예절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경어 표현: 문장 끝에 "ครับ(krap)"(남성), "ค่ะ(ka)"(여성)을 붙여 공손함을 표현합니다.
"안녕하세요" = "สวัสดีครับ/ค่ะ" (sawatdee krap/ka)

상대방의 지위에 따라 사용하는 단어와 말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차용어와 태국어 고유 단어

태국어는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크메르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영향을 받았습니다.
불교 관련 단어: 대부분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에서 유래.
예: ธรรมะ (dhamma) = 다르마, 진리


현대 차용어: 영어와 중국어에서 차용된 단어들도 많습니다.
예: คอมพิวเตอร์ (khom-piw-ter) = 컴퓨터

6. 존칭 및 호칭

태국어는 나이에 따른 존칭과 호칭이 발달해 있습니다.
친근한 표현: "พี่ (phi)" = 나이 많은 사람, "น้อง (nong)" = 나이 어린 사람.
가족 중심 표현: "แม่ (mae)" = 어머니, "พ่อ (phor)" = 아버지

 

그림 자료: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 박물관에서 가져왔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