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녀 교육, 양육

아이들이 부모와 대화를 거부 한다면 그 이유는?

by 1004goa 2024. 9. 18.
반응형

 

아이들은 자신들이 이해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경험이 누적되면

부모에게 마음의 문을 닫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아이들이 부모와 대화를 거부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주로 감정적, 사회적 또는 발달적 어려움에서 비롯됩니다.

 

아이들이 대화를 거부하게 되는 일반적인 원인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판단이나 비판에 대한 두려움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이야기할 때 엄하게 판단받거나 비판받을 것을 두려워해 부모와 대화를 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어려움을 털어놓았을 때 부모가 비판적으로 반응한다면, 아이는 부끄러움이나 창피함을 느끼지 않기 위해 이후에는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 할 수 있습니다.

2. 감정적 연결 부족

부모가 감정적으로 멀리 있다고 느낄 때, 아이들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데 망설일 수 있습니다. 부모가 적극적으로 경청하지 않거나 공감하지 않으면 아이들은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느껴 대화를 피할 가능성이 큽니다.

3. 과도한 통제적 양육 방식

엄격한 규칙과 통제를 사용하는 부모 밑에서 아이들은 자신의 의견이나 선택이 중요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들어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 수동적이거나 대화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4. 처벌에 대한 두려움

아이들은 특히 실수나 잘못에 대해 엄하게 처벌받는 환경에서 대화를 피할 수 있습니다. 정당한 문제나 어려움이 있어도, 진실을 말하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까 봐 걱정하게 됩니다.

5. 이해받지 못하는 느낌

아이들이 부모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으면, 대화를 피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청소년들은 부모가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느끼기 때문에 감정적 거리를 두고 대화에서 물러날 수 있습니다.

6. 독립성 추구

아이들이 자라면서 더 많은 독립성과 자율성을 추구합니다. 그들은 부모가 자신의 삶에 너무 깊이 개입되어 있다고 느낄 때 특정 주제에 대해 대화를 피할 수 있습니다.

7. 창피함이나 수치심

아이들이 괴롭힘, 학업 문제 또는 개인적인 문제와 같은 상황에서 창피함이나 수치심을 느끼면 이러한 문제를 부모와 공유하기에 너무 취약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판단받거나 약해 보일까 봐 두려워 대화를 피할 수 있습니다.

8. 바쁘거나 주의가 산만한 부모

아이들은 부모가 너무 바쁘거나 산만하다고 느끼면 대화를 중단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자주 자신의 일이나 문제 등에 몰두해 있다면, 아이들은 자신의 대화 시도가 주목받지 못하거나 중단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9. 관심사 차이 또는 세대 차이

때로는 아이들이 자신의 관심사나 문제가 부모와 너무 다르다고 느껴 대화를 피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부모가 자신이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10.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

과거에 대화를 시도했을 때 부정적인 경험을 했다면(예: 감정이 무시되거나 의견이 무시된 경우) 아이들은 대화를 피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습니다. 과거의 상처가 대화에 대한 장기적인 저항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1. 또래의 영향

아이들이 특히 청소년기에는 부모보다 또래와 더 많이 감정을 공유하고 조언을 구하게 됩니다. 그들은 친구들이 부모보다 더 이해하고 덜 판단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12. 사생활 보호 욕구

아이들이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자연스럽게 더 많은 사생활과 경계를 원하게 됩니다. 그들은 개인적인 주제에 대해 부모와 대화를 피하고, 삶의 일부를 비공개로 유지하고 싶어 할 수 있습니다.

13. 감정적 압박감

때로는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몰라서 대화를 피합니다. 어떻게 이야기를 시작해야 하고 어떤 이야기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대화를 거부하는 이유를 이해하면

부모는 더 개방적이고 공감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갖고 이해하려는 태도와

안전한 대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