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류의 시작 시기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1999년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 《가을동화》, 《겨울연가》 등이 방영되며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특히 《겨울연가》(2002년 일본 방영)는 일본 중장년 여성층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욘사마(배용준) 신드롬을 일으켰어요.
2. 한류의 계기
① 한국 드라마 수출
드라마는 언어와 문화를 간접적으로 알릴 수 있는 매체였고, 감정 중심의 스토리가 아시아 시청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② K-pop의 부상
2000년대 중반부터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등이 일본, 중국, 동남아 시장에 진출하며 큰 인기.
이후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의 등장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
③ 정부의 문화산업 지원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정부는 문화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기 시작했어요.
④ SNS와 유튜브의 확산
K-pop 뮤직비디오, K-드라마, K-뷰티 콘텐츠가 SNS와 유튜브를 통해 글로벌로 확산되면서 전 세계인이 쉽게 접할 수 있게 됨.
3. 한류가 가장 활발한 나라들
① 일본
한류 1세대 중심 국가
드라마, 배우, 음악, 화장품,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기가 있음
특히 중장년층 한류 팬이 많음
② 중국
초창기부터 큰 시장이었지만, 최근 정치적 이슈로 제약이 있음
여전히 불법 스트리밍, 팬덤 활동은 활발함
③ 동남아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젊은층 중심으로 K-pop, K-드라마, 뷰티,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인기
한국어 학습 열풍도 동반
④ 미국, 유럽
BTS, 블랙핑크, 싸이(강남스타일) 등으로 한류가 글로벌 대중문화 현상이 됨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 등도 전 세계적으로 화제
⑤ 중남미, 인도, 중동 등
K-pop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
현지 팬미팅, 콘서트도 활발하게 열리고 있음
'잡다한 지식들 > 다문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사회전문가 2급 자격증: 활용 분야와 취득 시 얻을 수 있는 혜택 (0) | 2025.05.05 |
---|---|
교육부의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정책: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 전략 (6) | 2025.05.04 |
빗장공동체: 보안과 배타성 사이의 경계 (0) | 2025.04.19 |
행복을 우선하는 나라, 부탄에 대한 잘 알려지지 않은 신기한 사실 10가지 (4) | 2025.04.01 |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차이점과 중요성: 다양성과 글로벌 시민의식 이해하기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