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몽골 한류2

몽골을 사로잡은 푸른빛의 미학: 원나라를 강타한 고려양 열풍 원나라에서 유행했던 "고려양(高麗樣)"은 고려의 문화와 스타일을 모방하거나 영향을 받은 것을 의미한다. 당시 원나라(몽골 제국의 지배를 받은 중국) 사람들은 고려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에 매료되어, 이를 따라 하는 것이 일종의 유행처럼 퍼졌다. 고려양 혹은 고려풍으로 불리는 이 현상은 고려의 문화가 원나라에 취사 선택되어서 퍼져나간 현상이며 원 간섭기에 유입되어서 원나라 말기 및 명나라 초기까지 유행하였던 고려식 풍습이다. 몽골풍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단어라고 볼 수 있다. 어찌 보면 한류와 비슷한 면도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사실상 원조 한류라고 봐도 무방하다.경로는 다양하지만 가장 주요한 경로는 기황후, 박불화를 비롯한 수많은 고려 출신 공녀들과 환관들이 끌려가서 원나라 황실과 고위층에 고려인이 많아지다 .. 2024. 11. 22.
한국과 닮은 나라'라는 말에 대한 몽골인들의 솔직한 마음 최근 한국에서는 몽골을 다녀온 한 여행 유튜버의 영상이 화제가 됐다고 했다. 노마드션이라는 유튜버의 영상이었는데,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한국어를 잘하는 사람이 많고 한국인에게 익숙한 브랜드 매장이 가득하다는 내용이었다. 이 유튜버는 그 이유를 찾기 위해 편의점 브랜드 CU의 몽골 본사를 직접 찾아가고, 현지인 관계자로부터 몽골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이 많아 한때 한국어 붐이 일었다는 설명을 듣는다. 이후 유튜버는 한인교회를 찾아 몽골에서 15년 이상 거주한 선교사로부터 몽골인의 10%가량이 한 번 이상 한국을 찾은 경험이 있을 것이라는 설명을 듣는다. 이런 분위기 덕분에 몽골에 자연스럽게 한국의 많은 것들이 이식되었다는 내용이었다. 이 영상은 게시된 지 6개월이 된 2월 13일 기준 200만 이상의 조회.. 2024.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