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다한 지식들212

두 번 버려진 아이들: 미국 시민권 없이 한국으로 추방된 입양인의 이야기 미국에 왜 시민권 없이 살아가는 한국계 입양인이 존재할까?1. 입양 당시 시민권 자동 부여 제도가 없었음2000년 이전에는 입양된 아이들에게 자동으로 미국 시민권을 부여하는 제도가 없었음.부모가 별도로 시민권 신청 절차를 밟아야 했는데, 그걸 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일부 양부모는 절차를 몰랐거나, 관심이 없었고, 심지어 입양인 학대 사례에서는 아예 고의적으로 방치하기도 했음.2. 2000년 '아동시민권법'(Child Citizenship Act)의 한계2000년 제정된 Child Citizenship Act of 2000은 외국에서 입양된 아동에게 자동 시민권 부여를 보장했지만,이 법은 소급 적용되지 않았음.즉, 2000년 이전에 입양된 사람들은 이 법의 보호를 받지 못했음.3. 서류 미비로 시민권 .. 2025. 5. 16.
덴마크 학교의 “좋은 삶 테스트(The Good Life Test)" 덴마크에서 시행되는 “좋은 삶 테스트(The Good Life Test)”는 학생들의 정서적 안녕(well-being)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 도구입니다. 이 테스트는 덴마크 교육부 및 지역 교육기관이 학생들의 삶의 질을 파악하고, 학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어요.다음은 덴마크의 '좋은 삶 테스트'의 주요 특징입니다:1. 목적학생의 정서적, 사회적 안녕 상태를 파악학교에서 느끼는 소속감, 안전감, 스트레스,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학교 및 교사들이 학생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2. 대상보통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고등학생까지 참여연 1회 또는 정기적으로 실시3. 내용 예시질문은 매우 직관적이고 쉬운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질문들이 포함될 수 있어요: 나는 .. 2025. 5. 15.
일본 농촌 총각과 결혼한 한국 여성들 – 산업화의 그늘에서 피어난 국제결혼 이야기 1. 배경: 일본 농촌의 결혼 위기1970~1980년대 이후 일본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젊은 여성들이 도시로 이주농촌에는 결혼 상대가 부족한 ‘총각’들만 남게 됨특히 도호쿠, 시마네, 규슈 지방은 결혼난이 심각했음2. 한국 여성들의 결혼 이주일본 농촌 총각과의 국제결혼 중개가 본격화됨 (1980~2000년대 초반)한국 여성들이 일본 농촌으로 시집가는 일이 활발해짐일부는 종교 단체나 교류 프로그램, 이후에는 결혼 중개업체를 통해 연결3. 결혼 이주의 배경과 이유4. 삶의 현실: 적응과 도전● 언어와 문화의 벽일본어가 서툴러 의사소통에 어려움가족 중심 문화와 지역 사회의 폐쇄성으로 외로움● 시댁과의 관계시어머니와 갈등 또는 정 깊은 관계로 발전한 사례도 존재● 경제 활동농사일을 함께 하고, 지역 행사에 참여하.. 2025. 5. 14.
덴마크 학교의 '학급 시간'과 학급 케이크 문화 덴마크의 학교에서 일주일에 한 번 있는 '학급 시간'과 그때 함께 나누는 ‘학급 케이크(class cake)’는 단순한 간식 시간이 아니라, 학생들의 사회적·정서적 성장을 위한 중요한 활동이에요. 아래에 자세히 설명드릴게요:덴마크 학교의 학급 시간과 학급 케이크란?1. 학급 시간 (Klassens tid)대부분의 덴마크 초등학교에서는 매주 일정 시간(보통 1교시나 마지막 시간)을 ‘학급 시간’으로 정해요.이 시간에는 교과 수업 대신, 학급 내의 문제를 이야기하거나, 친구들과 감정을 나누고, 갈등을 조율하는 시간을 가져요. 학생들은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고, 교사는 조력자 역할을 해요. (지시자가 아니라요!)때로는 간단한 놀이, 협동 활동, 생일 파티 등이 이 시간에 이루어지기도 해요.2. 학급 케이크 (.. 2025. 5. 13.
권력 거리란 무엇인가 “권력 거리(Power Distance)”는 사회나 조직 내에서 권력의 불평등이 얼마나 받아들여지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에요. 이 개념은 네덜란드의 문화학자 게르트 호프스테드(Geert Hofstede)가 제안했으며, 문화 차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간단히 말하면:권력 거리 = 권력 차이를 사람들이 얼마나 당연하게 여기는가권력 거리가 높은 문화상하 관계가 뚜렷하고, 나이와 직위에 따른 위계질서를 중시함상사는 권위를 가지며, 부하직원은 복종하는 태도가 일반적질문이나 반박이 드묾예: 대한민국, 일본, 인도, 멕시코, 중국권력 거리가 낮은 문화상사와 부하 간의 수평적 관계를 추구함직급보다는 능력과 협업을 중시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함예: 덴마크, 스웨덴, 미국, 네덜란드, 호주예시 상황회의.. 2025. 5. 12.
얀 루프 오헤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과 투쟁 얀 루프 오헤른(Jan Ruff O'Herne, 1923년 1월 18일 ~ 2019년 8월 19일)은 네덜란드계 호주인으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였습니다. 생애 및 배경오헤른은 네덜란드령 동인도(현 인도네시아) 자바섬 반둥에서 태어났습니다. 수녀가 되기 위해 공부하던 중, 1942년 일본군이 자바섬을 점령하면서 포로 수용소에 감금되었습니다. 1944년에는 스마랑에서 일본군 위안소로 강제 동원되어 약 3개월간 끔찍한 고통을 겪었습니다. 전후 삶과 증언 활동전쟁이 끝난 후, 오헤른은 영국군 장교인 톰 러프와 결혼하여 1960년 호주로 이주하였습니다. 오랜 기간 자신의 피해 사실을 숨기고 지냈지만, 1991년 한국의 김학순 할머니가 최초로 위안부 피해를 공개 증언한 .. 2025. 5.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