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나르시시스트33

나르시시스트와 소시오패스의 공통점과 차이점 나르시시스트와 소시오패스는 모두 성격 장애 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여러 가지 특성을 공유하지만 ,동기, 행동,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크게 다릅니다.오늘은 그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시다.나르시시스트와 소시오패스의 유사점 🌐1. 공감 부족 😶 나르시시스트와 소시오패스는 모두 공감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들은 종종 다른 사람의 감정과 필요를 이해하거나 신경 쓰지 못합니다. 그러나 나르시시스트는 이미지에 도움이 될 때 더 선택적이거나 피상적인 공감을 보일 수 있는 반면 소시오패스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완전히 무시할 수 있습니다. 2. 조종적 행동 🕸️ 두 성격 모두 조종에 능숙하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합니다. 나르시시스트는 자기 이미지를 유지하거나 존경을 받기 위해 사람들.. 2024. 9. 27.
사과하지 못하는 나르시시스트에게 사과받기를 포기하다. 사과받기의 집착 벗어나기 오랜 시간 나르시시스트들로부터 고통을 겪어온 사람들은 알 거에요.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 그리고 그 기억들로 인해 앞으로 얼마나 더 고통스러워해야 하는지...... 자꾸 떠오르는 기억들과 억울한 마음. 그런 기억들을 털어내고 현재를 잘 살고 싶어서 힘겹게 "이렇게 힘들어하는 나에게 사과를 해달라"고 요구를 해보지만, 오히려 "너는 아직도 그런 걸 기억하냐?", "내가 너 아니면 누구한테 그렇게 화풀이를 할 수 있었겠냐?(What?????)", "좋은 것만 기억해라", "왜 그런 이야기를 꺼내는건데?", "왜 또 지금 옛날 이야기 꺼내는데?" 하는 식으로 오히려 다시 비난받곤 합니다. 차라리 그냥 진정어린 사과를 해주었다면 나도 다 잊고 용서해주고 싶은데 오히려 그런 비난으로 인해 더 큰 고통을 받게 됩니.. 2024. 9. 19.
미성년자인 자녀가 부모의 감정의 쓰레기통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방법 당신이 미성년자이고 부모님의 감정을 "쓰레기통"으로 이용당하는 것 같다면, 특히 주변 환경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힘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황을 관리하고 감정적으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은 여전히 ​​있습니다. 많이 힘들겠지만 다음의 글이 당신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세요첫째, 부모님의 정서적 부담을 지는 것이 당신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세요. 당신은 당신만의 정서적 공간과 평화에 대한 권리가 있습니다. 2. 작은 경계 설정어른처럼 확고한 경계를 정할 수는 없겠지만, 작은 한계를 만들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푸념을 시작하면 "나는 엄마가 걱정되지만, 나한테 지금 엄마가 하는 말과 행동은 좀 지나치네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4. 9. 18.
나르시시스트 부모의 황금 자식, 골든 차일드: 정의와 특성 나르시시스트 부모의 황금 자식: 정의와 특성나르시시스트 부모가 있는 가정에서는 각 자녀에게 종종 특정 역할이 할당됩니다. 이러한 역할 중 하나가 "황금의 아이"입니다. 이 아이는 나르시시스트 부모의 눈에 완벽해 보이며, 종종 칭찬과 관심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 특별한 대우에는 비용이 따릅니다.골든 차일드란?골든 차일드는 나르시시스트 부모가 가장 좋아하는 아이입니다. 이 아이는 부모가 원하는 가족의 "이상적"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됩니다.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골든 차일드를 사용하여 자신의 자존심을 높이고 자신을 잘 보이게 만듭니다.골든 차일드는 무조건적으로 사랑받기 때문에 선호받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신, 그들은 부모의 이기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아이는.. 2024. 9. 17.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본 나르시시스트 부모의 문제점 기독교적 관점에서, 자기애적 양육은 겸손, 사심없음, 그리고 신앙의 기초가 되는 사랑의 핵심 원칙과 모순되기 때문에 특히 해로울 수 있습니다. 기독교적 맥락에서 부모는 그리스도의 사랑의 모범이 되도록 부름을 받습니다. 양육, 희생, 겸손이 필요한 반면, 자기애적 행동은 종종 자기중심성, 교만함, 조종을 반영합니다.1. 자기 찬양 vs. 겸손기독교는 겸손이 미덕이라고 가르치며, 예수께서는 겸손한 리더십의 궁극적인 본보기가 되셨습니다(빌립보서 2:3-8). 그러나 자기애적 부모는 종종 자녀를 통해 자신의 영광과 인정을 추구합니다. 그들은 자녀가 자신의 충족되지 않은 욕망을 충족시키고, 이를 도구로 사용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기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기 영광에 대한 이러한 집중은 "하나님은 교만한 자.. 2024. 9. 16.
나르시시스트 부모의 유형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녀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행동과 성격 특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나르시시스트 부모 유형입니다. 1. 외현적 자기애(overt narcissism, grandiose narcissism)적 부모겉으로 우월감과 자신감이 과도할 정도로 쉽게 드러나는 형태이 유형은 공개적으로 자기중심적이며 끊임없는 칭찬을 추구합니다. 그들은 공격적이고 지배적이며 주목의 중심이 되고 싶어하며 종종 자녀의 필요보다 자신의 필요를 우선시합니다. 2. 내현적 자기애(covert narcissism, vulnerable narcissism) 타인이 알아보기 힘든 은밀한 방식으로 나타내는 형태이들은 보다 미묘하고 수동적이며 겸손하거나 자학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여전히 자녀의 .. 2024. 9. 16.
반응형